뷰티

겨울철 피부 관리법

건강한삶연구소장 2023. 10. 23. 07:42
반응형

요즘 주변 얘기를 들어보면 남자든 여자든, 너도 나도 피부 관리하러 다니는 모습을 볼 수 있습니다.

일상 습관에서 피부 관리할 수 있는 방법에는 어떤 것을 이 있을까요?

 

 

 

피부과에 가면 아무래도 지출 부담이 크죠.

우리 스스로 피부 미용사처럼 관리할 수 있는 방법은 없을까 고민한 적은 없으신가요?

 

피부 미용사는 고객들의 피부를 가까이 들여다보고 평소 피부 고민과 생활 습관을 물어보며 모공과 주름을 체크합니다.

누군가가 우리가 피부의 흉터나, 여드름, 다크서클, 모공 등을 가리려고 할 때 파헤쳐본다는 것은 어떤 느낌일까요?

당연히 이것은 거슬리는 일이겠죠. 하지만 당당하게 우리 스스로에게 이러한 것을을 물어보고 체크해야 합니다.

 

피부 미용사는 어떤 것들을 보며 우리의 피부를 체크할까요? 

피부는 모든 정보를 포함하고 있습니다.

어떠한 생활습관도 피부를 좋게 혹은 망하게 할 수 있습니다.

환경에서부터 일상 습관까지 사용하는 스킨케어 제품과 신체 호르몬에 이르기까지 모든 것이 피부의 균형을 깨뜨릴 수 있습니다.

 

 

 

여드름을 만드는 생활 습관

잡티는 인생에서 피할 수 없는 귀찮은 일이며, 미용사는 여드름의 모양을 관찰하여 여드름이 발생하는 원인을 알 수 있습니다.

여드름이나 잡티가 있는 경우 위치에 따라 잠재적인 원인을 파악할 수 있습니다. 얼굴에 여드름이 나는 것은 잘못된 식습관이나 오염된 손, 특히  휴대폰으로 인해 발생할 수 있습니다.

 

게다가 여드름 흉터가 있다는 것은 여드름을 뽑거나 터뜨린 이력을 나타낼 수 있겠죠.

여성의 경우 호르몬은 피부에 큰 영향 주고 일반적으로 얼굴의 특정 부위에만 나타나는 발진을 일으킬 수 있습니다. 

대부분의 호르몬 분비는 턱선을 따라 발생하며 목까지 내려갈 수 있습니다.

 

 

 

주름이 뜻하는 것은 뭘까?

미용사는 또한 얼굴의 주름을 보고 많은 것을 파악할 수 있습니다.

표정 하나하나가 피부를 늘려주고, 반복적인 안면 움직임을 보이는 사람들은 그 부위에 주름이 더 많이 생깁니다.

미간 사이의 강한 찡그린 선은 누군가가 자주 찡그린다는 것을 의미할 수 있습니다.

 

또한 일반적으로 컴퓨터 작업을 하면서 찡그린 얼굴을 많이 해서 '집중하는 얼굴'을 가지고 있음을 나타낼 수 있습니다.

까마귀 발이라고 알려진 눈 주위에 더 많은 선이 있으면 그 사람이 많이 웃거나 햇빛 아래에서 자주 눈을 가늘게 뜨고 있음을 나타낼 수 있습니다.

 

그러나 얼굴 주름에서 가장 충격적인 사실은 우리의 수면 습관과도 연관이 있습니다. 

사람 얼굴의 대칭성으로 인해 얼굴의 어느 쪽에서 주로 잠을 자는지 알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그쪽의 잔주름, 주름, 발진이 더 많은지 알 수 있습니다.

당신이 옆으로 자는 사람임을 암시할 수 있는 또 다른 특징은 뺨이 더 낮고 다른 쪽보다 편평한 것은 일반적으로 당신이 그쪽으로 자고 있다는 것을 나타냅니다.

 

 

피부색과 톤으로 알 수 있는 것

발적, 과다색소침착 및 자극은 당신의 피부 습관에 대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습니다.

피부색이 고르지 않거나 색소침착이 심한 경우 이는 햇빛 노출, 호르몬 변화 또는 피부 손상을 나타낼 수 있습니다.

 

검은 반점은 직사광선을 통한 손상을 나타낼 수 있으며, 기미(피부가 어두워지는 현상)는 호르몬 변동(예: 임신)과 관련이 있을 수 있습니다.

당신이 운전을 많이 하는지 아닌지도 피부를 통해 알 수 있습니다. 누군가가 운전을 많이 하면 직사광선의 영향을 많이 받습니다.

특히 얼굴 왼쪽이 직사광선에 노출이 많이 됩니다.

이 직사광선은 콜라겐을 분해하여 얼굴 측면에 더 깊은 주름을 생성시킵니다. 

 

피부가 붉어지는 경우는 원인이 불분명할 수 있습니다.

발적은 거친 제품, 약물, 건조함, 자외선, 호르몬 문제 및 알레르기로 인해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더 까다롭습니다.

붉어짐, 자극 또는 염증이 있다면 일상적인 스킨케어 제품을 자세히 조사하여 어떤 제품이 원인일 수 있는지 확인해 보는 것이 필요합니다.

이러한 관찰은 확정적인 진단은 아닙니다. 정확하게 치료 혹은 관리를 위해서는 전문의와 상담하시고 담당 관리사와 적절한 치료가 필요할 것입니다.

 

반응형